본문 바로가기
재테크/ETF,주식초보 루틴

ETF 고르는 기준, 나만의 방식

by Minory 2025. 5. 2.

ETF 고르는 기준, 나만의 방식으로 투자 감각 키우기

처음 ETF를 접했을 땐 머리가 복잡했어요. "이게 주식이야, 펀드야?"라는 의문부터, 어떤 ETF를 골라야 할지 막막하기만 했죠. 하지만 꾸준히 모아가며 느낀 건, ETF는 결국 '나를 이해하는 투자'라는 사실이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제가 ETF를 고를 때 어떤 기준을 갖고 접근했는지, 그리고 왜 그 기준이 나에게 잘 맞았는지 공유해볼게요.

✅ 처음 고른 ETF는 '시장이 익숙한 것'

저의 첫 ETF는 KODEX 200이었습니다. 이유는 단순했어요. "뉴스에서 맨날 보던 KOSPI200을 추종하니까 왠지 익숙하다"는 느낌. 실제로는 삼성전자, SK하이닉스, 현대차 등 한국 대표기업들이 포함되어 있었고, 주식 초보인 저에게는 부담이 덜했죠.

  • ✔ 추종 지수: KOSPI200 (국내 대표 200개 종목)
  • ✔ 장점: 친숙하고 안정적, 장기투자에 적합
  • ✔ 단점: 기대수익률이 높지는 않음

→ 시작은 무조건 쉬워야 해요. '알아볼 수 있는 것'이 결국 오래 가니까요.

✅ ETF 고르기 전, 나를 먼저 알아야 해요

ETF는 상품 이전에 '투자 습관'이에요. 그래서 어떤 ETF가 좋냐보다, 어떤 나에게 맞는지가 더 중요하죠.

📌 나에게 맞는 ETF 고르는 3단계 질문

  • 1. 나는 가격 변동이 커도 괜찮은가? (리스크 감내도)
  • 2. 월 몇만 원 정도까지 투자 가능한가? (예산)
  • 3. 단기 수익을 원하나, 장기 적립이 목적인가? (투자 스타일)

이 질문에 답하면서 자연스럽게 고배당 ETF, 해외지수 ETF, 섹터 ETF 중 나에게 맞는 카테고리가 정리됩니다.

✅ ETF 체크리스트: 최소한 이건 확인하세요

체크 항목 왜 중요한가 체크 포인트 예시
추종 지수 어떤 시장을 따라가는지 알아야 함 S&P500 / KOSPI200 / 나스닥100
운용보수 장기투자일수록 수수료 차이가 수익률에 영향 0.1% 이하 추천
거래량/규모 시장에서 얼마나 활발히 거래되는지 일평균 거래량 10만 이상 안정적
배당 유무 현금 흐름을 원하는지 여부 월배당 ETF / 분기배당 ETF 등

✅ 감정 소비 대신 'ETF 탐색'으로 루틴 만들기

예전엔 스트레스받으면 쇼핑앱을 켰는데, 요즘은 ETF 검색부터 합니다. 이번 달 시장 이슈, 유튜브 분석, 커뮤니티 토론글을 읽다 보면 사고 싶은 물건 대신 사고 싶은 ETF가 눈에 들어오죠. 이 흐름 자체가 소비 루틴 → 투자 루틴으로 바뀌는 전환점이었어요.

✅ 마무리: ETF는 '성향에 맞는 루틴'

ETF를 고르는 건 내 투자 성향을 탐색하는 과정이에요. 잘 고른 ETF 하나가 나를 투자 세계로 부드럽게 이끌어줍니다.

이번 달엔 어떤 ETF를 하나 새롭게 들여다보실래요? 이름은 낯설어도, 알고 보면 꽤 익숙한 친구일 수 있어요.